재택치료란?
재택치료란?
- 재택치료’는 코로나19 확진 환자의 상태 등을 고려하여 입원치료·시설치료가 아닌 ‘집에서 받는 치료’를 의미합니다.
- 입원요인, 재택치료가 불가능한 경우 전담병원 입원 및 생활치료센터 입소 요청
- 보다 일상적이고, 지속가능한 코로나19 대응을 위해 확진자 치료는 재택치료가 기본원칙으로 적용되며, 보건소 조사 결과에 따라 집중관리군과 일반관리군으로 구분됩니다.
<재택치료 대상자 구분>
집중관리군
- 60세 이상이거나
- 먹는 치료제 투약 대상자*로서 지자체가 집중관리가 필요하다고 판단하는 자
- 40대 이상 고위험·기저질환자 : 심혈관질환(고혈압 등), 당뇨, 만성 신장질환, 만성 폐쇄성폐질환(천식 포함), 활동성 암, 과체중(체질량지수(BMI) 25kg/m2초과), 인체면역결핍질환
- 면역저하자 : 자가면역질환자, HIV 감염자, B-세포 표적치료 또는 고형장기 이식 중인 1년 이내 환자, 스테로이드제재 등 면역억제 투약 환자 등으로 면역기능이 저하된 자
일반관리군
집중관리군 외의 재택치료자
치료 안내
오미크론변이는 델타변이보다 중증도가 낮아 무증상·경증 확진자는 해열제·감기약 복용 등을 통해 회복이 가능합니다.
격리 안내
검체채취일(PCR 검사일)로부터 7일까지는 타인에게 전염시킬 위험이 있어 집에서 격리를 하게됩니다.
코로나19 확진을 받은
환자 및 동거인을 위한
안내문
[확진자 및 동거인]
_포스터_1.jpg)
_포스터_2.jpg)
[집중관리군]
_포스터_3.jpg)
[일반관리군]
_포스터_4.jpg)
[동거인]
_포스터_5.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