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너와 나 함께하는 아산숲길 누리집입니다.
  • 너와 나 함께하는 아산숲길 누리집입니다.
은행나무길
비순환형 초급

은행나무길

심은 지 50여 년이 지나 연령이 60년이 넘은 은행나무 가로수는 이제 아름드리 나무로 자라 사계절 방문객들의 발길을 멈추게 하고 있다. 현재 은행나무길에는 총 350여 그루가 자라고 있고, 은행나무 길에서 펼쳐져 보이는 곡교천은 잘 가꾸어진 경관과 철새 등 사람과 자연 경관이 함께 공존하는 도심 속 살아 숨 쉬는 생명의 휴식처이다. 사시사철마다 형형색색의 이미지로 관광객들의 발길을 모으고 있다.

# 염치읍, 둘레길
효의길
비순환형 중급

효의길

현충사에서 은행나무길을 경유하여 인주면 해암리 게바위까지 곡교천 뚝방길을 따라 걷는 길로 곡교천의 아름다운 정취와 함께 이순신 장군의 어머님에 대한 지극했던 효심 등 인간 이순신의 고뇌와 눈물을 되새겨 보며 걸을 수 있다.

# 인주면,염치읍, 둘레길
현충사 둘레길
순환형 초급

현충사 둘레길

충무공 이순신 장군의 정신이 깃들어 있는 현충사를 둘러 싸고 있는 방화산 숲길과 백암리 마을길이 연결되는 둘레길로 울창한 현충사 소나무 숲길이 일품이며 아산 백암리 3.1만세 봉화시위, 백암리산성터 등 향토사적 이야기도 서려있는 길이다.

# 염치읍, 둘레길
충의길
비순환형 중급

충의길

1597년 1월 14일 일본의 재침으로 시작된 정유재란에서 선조의 출정 명령을 어김으로 인해 삼도수군통제사에서 파직되고 도원수 권율의 막하에서 백의종군하라는 명을 받고 1597년 4월 1일 의금부(현재 종각 부근)에서 출발해 아산에 들렀다가 전북 남원, 전남 구례 등을 거쳐 협천의 도원 수진에 이르기까지 이순신이 걸었던 경로와 활동 범위 전체인 640㎞의 경로를 ‘이순신 백의종군길’이라고 한다. 아산시에서 이순신의 행로 중 백의종군길 1구간은 이순신장군이 백의종군을 위해 의금부에서 나와 한양(서울)을 출발, 평택을 지나 아산으로 들어와 음봉면의 선영을 거쳐 염치읍 백암리 본가 9고택에 이르기까지의 경로로 대략 23km의 구간이다.

# 둔포면,염치읍, 둘레길
아산시 둘레길 코스 더보기
서귀봉
해발 583.0m

서귀봉

광덕산 정상에서 1.4km 떨어져 있는 바위들로 이루어져있는 봉우리로 완만히 따르다가 점점 가파르게 올라가기 시작한다.

# 송악면, 등산로
월주산
해발 190.5m

월주산

월주산은 높이190.5로 그다지 높지 않으나, 주변 일대에 평갸가 발달해 있어 실제보다 더 높게 보이며 '성내리산성(城內里山城)'있으며 아산 지역에서 가장 북쪽에 있는 산성이기도 하다.

# 온양5동, 등산로
곽씨봉
해발 245.3m

곽씨봉

배방산에서 시작하여 도고온천역까지의 아산기백의 배태망설 코스에 곽씨봉은 아산시 송악면, 도고면, 예산군 대술면 경계에 있는 봉우리로 삼각점이 있다.

# 송악면,도고면,대술면, 등산로
도고산
해발 482.0m

도고산

동서로 뻗은 연봉이 아산시와 예산군의 경계를 이루고 있으며, 아산만 일대가 한눈에 들어와 예로부터 서해안의 초계와 방어를 위한 군사적 요새가 되어 왔다. 서기 1390년 6월에는 서해안에 침입한 왜구가 이곳에 진을 치고 약탈을 자행하자 고려의 장수 윤사덕과 유용생이 이끈 관군에 의해 적 100여명 전원을 섬멸 하였으며, 1392년 고려조의 소부소감 김질이 이곳에서 거적을 치고 불사이군의 절의를 지키다 순절한 곳이기도 하다.

# 도고면, 등산로
아산시 등산로 코스 더보기